KR
KR
서브비주얼1
커뮤니티

건강정보

[순환기내과] 고혈압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09.11.
링크
https://blog.naver.com/happydrh/223554497619

240819_대림성모병원_바이럴_고혈압_(1).jpg

 

240819_대림성모병원_바이럴_고혈압_(2).jpg

 



기온이 떨어지면 혈관이 수축하면서 혈압이 상승하기 때문에 혈압 관리는 여름보다 겨울에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요.

하지만 여름철에도 철저하게 혈압 관리를 해야 합니다.

여름철에는 높은 온도와 습도로 불쾌지수가 높아지면서 교감신경이 항진되어 심장 박동 증가, 혈압 상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불쾌지수로 인한 스트레스 역시 혈압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여름철에는 혈액량의 변화가 많아져 혈압이 쉽게 오르거나 내려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름철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240819_대림성모병원_바이럴_고혈압_(3).jpg

 



첫 번째, 실내외의 온도차를 최대한 줄이는 것입니다.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혈압은 기온에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하는데요.

여름철에는 더운 외부에서 에어컨이 강력하게 작동하는 실내로 이동하면서 갑작스럽게 체온이 내려가는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혈관이 수축하면서 혈압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데요.

또 차가운 물에서 수영을 하다가 갑자기 밖으로 나오면 춥다는 느낌을 받게 되는데, 이런 상황은 고혈압 환자에게 더욱 위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내외의 온도차가 5도 이상 나지 않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집에서도 에어컨을 너무 낮은 온도로 설정하지 않고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째, 꾸준한 운동입니다.

운동을 통해 향상된 근력과 근육은 체온 변화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데요.

과도한 강도의 운동은 오히려 부정적인 효과를 불러올 수 있으니 적절한 강도의 운동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꾸준히 노력한다면 고혈압 예방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240819_대림성모병원_바이럴_고혈압_(4).jpg

 



고혈압이 흔한 질환이라고 생각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할 경우 혈관, 심장질환, 뇌질환 등으로부터 위협을 받을 수도 있으며,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 동맥경화로 인해 치명적인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해 자칫 잘못하다가는 목숨이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약물치료는 물론 생활습관 개선 및 적당한 운동을 통해 관리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 주시기 바랍니다.



 

240726_대림성모병원_바이럴_약도,진료시간_색상_바레이션_1__(2).jpg

 

240726_대림성모병원_바이럴_약도,진료시간_색상_바레이션_1__(1).jpg

 

240708_대림성모병원_바이럴_의료법준수이미지_(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