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
KR
서브비주얼1
커뮤니티

건강정보

[유방암병원] 유즙분비증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04.14.
링크
https://blog.naver.com/ibreast/223810481108

250325_대림성모병원_바이럴_유즙분비증_(1).jpg

 



유방에서 유즙이 분비되는 것은 임신과 출산 후 수유 기간 동안 발생하는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그러나 임신이나 출산과는 관계없이 유두에서 유즙이 분비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유즙 분비증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유즙 분비증의 원인, 증상, 치료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50325_대림성모병원_바이럴_유즙분비증_(2).jpg

 



유즙 분비증은 유즙 분비 호르몬인 프로락틴이 과다하게 생성되어 나타나는 고프로락틴혈증으로 인한 증상입니다.

 

출산 후 1년 이상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유두에서 투명하거나 우유빛의 유즙이 분비되는 상태를 말하며,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250325_대림성모병원_바이럴_유즙분비증_(3).jpg

 



대부분의 경우 별다른 자극 없이도 유즙이 흘러나오지만, 유두를 자극할 때에만 분비되기도 합니다.

 

고프로락틴혈증이 오래 지속되면에스트로겐 부족이 동반되면서 골밀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무배란이나 무월경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남성의 경우 아주 드물게 거대 선종으로 인해 고프로락틴혈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성욕감퇴, 발기부전, 시력저하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250325_대림성모병원_바이럴_유즙분비증_(4).jpg

 



유즙 분비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습니다.

1. 프로락틴 분비 종양

뇌하수체에 유즙 분비 호르몬인 프로락틴을 분비하는 세포들이 증식하여 종양을 형성한 경우, 

유즙 분비 호르몬의 분비가 과다하게 이루어져 유즙 분비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 기능이 저하되면 갑상선 호르몬을 보충하기 위해 시상하부에서 갑상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의 분비가 자극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뇌하수체의 프로락틴 분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유즙이 비정상적으로 분비될 수 있습니다.

 

3.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우리 몸의 호르몬 균형을 깨뜨리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인데요. 과도한 스트레스는 신경계를 자극하여 뇌하수체에서 프로락틴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4. 유두 및 유방 자극

유두와 유방은 신경이 민감한 부위로, 지속적인 자극이 가해지면 유즙 분비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특히 꽉 조이는 브래지어 착용, 마사지 등의 행동이 유즙 분비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5. 약물 부작용

일부 약물은 프로락틴 분비를 증가시켜 유즙 분비를 유도할 수 있는데요. 

대표적인 약물로는 경구 피임약, 항우울제 및 항정신성 약물, 십이지장 궤양 치료제(시메티딘), 혈압 강하제(메틸도파) 등이 있습니다.

 

6. 다른 질환이 있는 경우

뇌하수체 종양, 신장질환, 자궁근종 등도 유즙 분비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50325_대림성모병원_바이럴_유즙분비증_(5).jpg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와 영상 검사를 진행합니다.

 

프로락틴 수치와 갑상선 기능 평가를 위해 혈액검사를 시행하며, 뇌하수체 종양이 의심될 경우에는 MRI 촬영을 통해 종양의 유무를 확인합니다.

 

또한 복용 중인 약물 중 유즙 분비증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이 있는지 면밀히 검토합니다.



 

250325_대림성모병원_바이럴_유즙분비증_(6).jpg

 



유즙 분비증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게 진행됩니다.

 

프로락틴 분비 종양에 의한 경우에는 유즙 분비 호르몬 생성을 줄이기 위해 1차적으로 도파민 작용제 등을 이용한 약물치료를 시행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유두 및 유방의 자극에 의한 경우나 약물에 의한 경우에는 자극을 주는 원인을 제거하고, 약물의 경우 중단하거나 대체 약물로 변경합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 의한 경우에는 갑상선 호르몬 보충 요법을 시행합니다.



 

250325_대림성모병원_바이럴_유즙분비증_(7).jpg

 



유즙 분비물과 유두 분비물은 비슷해 보이지만 전혀 다른 질환의 증상일 수 있어 구분이 필요합니다.

 

유두 분비물은 관내 유두종이나 유방암과 같은 질환으로 인해 분비물에 피가 섞여 나올 수 있으며, 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투명한 분비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유두 분비물은 악성보다 양성 질환과 관련이 되어 있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검붉은색 유두 분비물의 경우 드물지만 암에 의한 증상을 의심해 볼 수 있어 추가적인 유방 초음파나 유방 촬영술 등의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유즙 분비증은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서 뇌하수체나 갑상선 등의 신체 이상을 나타내는 중요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즙이 비정상적으로 분비되거나 관련된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단을 받고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40708_대림성모병원_바이럴_의료법준수이미지_(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