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에서 팔꿈치는 많이 사용되는 신체 부위 중 하나로, 물건을 들거나 옮길 때,
요리나 청소 등의 집안일을 할 때, 운동을 할 때 등 거의 모든 동작에서 팔꿈치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렇듯 반복적인 움직임이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팔꿈치 근육,인대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팔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이나 스포츠 선수 등에서 팔꿈치 통증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팔꿈치 통증은 어느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는가에 따라 진단명이 달라지며, 대표적으로 극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테니스엘보, 골프엘보를 꼽을 수 있습니다.
테니스엘보는 팔꿈치의 바깥쪽에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손목을 굽히거나 펼 때 사용되는 근육과 인대에 염증이 생겨 발생합니다.
증상으로는 팔꿈치 바깥쪽에 통증이 발생하며, 물건을 들거나 밀 때, 혹은 손목을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해집니다.
초기에는 팔을 움직일 때만 약간의 불편함이 느껴질 수 있지만, 악화되면 간단한 동작에서도 이상 증세가 발현되며, 팔 외에도 손목 부위에까지 아픔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골프 엘보는 팔꿈치의 안쪽에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손목을 굽힐 때 사용되는 근육과 인대에 염증이 생겨 발생합니다.
이는 팔꿈치 안쪽 부위에 통증과 저림, 화끈거림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손목까지 퍼지는 방사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만약 상태가 심각한 경우라면 팔을 굽히거나 펴는 행동 또는 물건을 드는 행위조차 버거워질 수 있습니다.
두 질환 모두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만성적인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팔꿈치 통증은 초기에는 비수술적 방법을 통해 염증 개선 및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체외충격파, 물리치료, 약물치료, 주사치료 등 환자 상태에 맞는 방법을 활용하고, 무리한 운동은 삼가고 휴식을 취하면 수술 없이도 증상 호전이 가능합니다.
그 중 비수술적 치료 방법 중 하나인 체외충격파 치료는 환부에 충격파를 가해 혈류량 증가시켜 염증을 줄여주고, 통증을 완화해 힘줄의 재생 기능을 촉진합니다.
하지만 비수술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해야 하는데, 최근에는 내시경을 이용해서 작은 절개를 통한 미세침습술이 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수술 후에는 재활치료를 통해 팔꿈치 주변 근육 강화 및 재발방지를 도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방하기 위한 예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적절한 휴식: 팔꿈치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운동이나 작업을 한 후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스트레칭: 팔꿈치 근육을 스트레칭하여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3. 보호대 착용: 팔꿈치 보호대는 팔꿈치를 보호하고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4. 올바른 자세: 팔꿈치를 굽히거나 펴는 동작을 할 때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해야 하며, 팔꿈치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적절한 무게와 강도를 선택해야 합니다.
5. 근력 강화: 팔꿈치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근력 운동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방을 위해 일상 속에서 손목과 팔을 무리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며,
규칙적인 손목 및 팔 근육 강화를 위한 스트레칭,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초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면 호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방치하여 만성질환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는 만큼,
통증이 있다면 일시적인 증상이라고 여기지 말고 조속히 내원하여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